본문 바로가기

기타 정보

축의금 봉투 이름 쓰는법 이것만 보면 끝

따뜻한 봄이 찾아오면서 주변 결혼 소식과 함께 결혼식 참석이 잦아지고 있는 요즘입니다. 결혼식에 자주 참석하면서도 막상 축의금 봉투 이름 쓰는 법도 까먹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네요. 그래서 축의금 봉투 쓰는 법 관련하여 완벽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청첩장을 받으셔서 곧 결혼식 참석 예정이신 분들은 아래 축의금 봉투 쓰는 법 보고 따라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축의금 봉투 작성 방법

 

흰색의 봉투를 준비하셔서 작성해야 하는데요. 보통은 결혼식장 안에 봉투와 펜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제가 갔던 곳의 대부분의 식장에는 있었는데 없는 곳도 있다고 하니 미리 식장을 검색하셔서 확인하시거나 집에서 봉투를 준비해 가시는 게 가장 마음 편하실 듯합니다. 축의금 액수를 얼마 내는게 고민이신 분들은 아래 링크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축의금 금액 기준 알아보기👆

 

축의금 봉투의 앞면과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보통 봉투 앞면은 축사 문구를 작성하고, 뒷면에는 전달하는 사람의 이름과 소속을 작성합니다.

 

축의금-봉투-앞면-뒷면-사진
축의금봉투

 

 봉투 앞면

 

결혼식 축의금의 경우 봉투 앞면의 한가운데에는 세로로 축하문구를 작성합니다. 보통은 한문으로 작성하는데 한글로도 작성하기도 합니다. 자주 사용되는 축하문구의 한글과 한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축결혼(祝結婚)
  • 축화혼(祝華婚)
  • 축성전(祝盛典)
  • 축성혼(祝聖婚)

작성하실 때 위 한자 참고하셔서 세로로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축의금-봉투-앞면-작성-방법-4가지-축결혼-축화혼-축성전-축성혼
축의금-봉투-양식-앞면

 

축의금 봉투 양식 샘플도 첨부하였으니 입맛에 맞게 골라서 쓰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한문으로만 작성해 놓았는데 한글로도 작성하셔도 된답니다.

 

 

 

봉투 뒷면

 

\봉투 뒷면에는 보통 축의금 전달하는 사람의 이름을 써줍니다. 흔한 이름이면 동명이인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소속이나 기관도 함께 작성하는 게 좋습니다. 회사에 다니시면 회사명, 대학교 동창이면 대학교명 등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신랑, 신부와 친한 친구 분이라면 '친한 친구'라고 작성해도 되겠죠?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볼 수 있도록 자유롭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축의금-봉투-뒷면-작성-방법-소속-기관-이름-쓰기
축의금-봉투-뒷면

 

보통 축의금 봉투 좌측 하단에 이름 쓰는데요. 봉투 앞면에 작성한 축하 문구와 동일하게 세로로 작성해 주시길 바랍니다.

 

 

 

맺음말

 

지금까지 축의금 봉투 쓰는 법 관련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정리하자면 봉투 앞면의 중앙에는 세로로 축결혼, 축화혼, 축성전, 축성혼과 같은 축하문구를 작성합니다. 뒷면에는 축의 하는 분이 누구인지 알 수 있도록 좌측 하단에 소속 기관과 이름을 세로 방향으로 씁니다. 이참에 축의금 봉투 작성 방법을 완벽하게 숙지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