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정보

2023년 24절기 전체 날짜와 의미, 양력 음력 기준 확인하기

2023년-24절기-전체-날짜-섬네일
2023년 24절기 날짜 확인

 

곧 있으면 2023년 24절기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이 다가오네요. 그래서 오늘은 2023년 24절기 전체 날짜와 각각에 해당하는 절기의 의미에 대해 준비하였습니다. 또한, 24절기는 양력 또는 음력 중 어떠한 기준으로 나타내는지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24절기란?

 

여러분들은 평소에 입춘, 춘분, 대설, 대한과 같은 단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이들은 모두 24 절기에 해당되는 절기들로 계절을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여기서 24절기 지구가 태양을 둥글게 돌면서 지나가는 길인 황도를 기준으로 15도씩 나누어 총 24개의 절기로 표현한 것을 의미합니다. 24절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의 흐름을 표현하는 방법이며 각각의 절기에 따라 명칭이 다릅니다. 절기의 뜻과 날짜를 아시면 계절의 변화를 이해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24절기는 양력인가요? 음력인가요?

 

24절기는 양력으로 나타냅니다. 많이 헷갈리시는 부분이 설날, 추석과 같은 명절은 음력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때문인데요. 24절기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표현하는 날짜인 양력으로 나타냅니다. 반면 음력은 달 모양의 변화를 확인하여 시간의 흐름을 표현할 수 있지만 계절적인 변화는 알 수가 없습니다. 옛날부터 농사가 주업인  우리나라에서는 양력으로 표현되는 24 절기의 변화가 매우 중요하였다고 하네요.

 

계절에 따른 24절기 구분

 

우선 24 절기로 4계절의 시작과 끝을 알 수 있는데요. 봄, 여름, 가을, 겨울에 해당하는 24절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계절마다 6개의 절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공통적으로 입춘, 입하, 입추, 입동과 같이 入(들 입)이 포함된 절기가 계절의 시작을 알려줍니다.

 

 

2023년 24절기 전체 날짜 및 의미

 

그럼 2023년에 해당되는 24절기 전체 날짜 달력과 절기에 해당하는 의미와 뜻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봄 절기

봄에 해당되는 절기는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입니다.

 

입춘 : 2월 4일 11시 43분. 24 절기의 시작을 알리는 첫 절기로 새해의 봄이 시작되는 날.
우수 : 2월 19일 7시 34분. 날씨가 풀려 봄바람이 불며 새싹이 나는 날.
경칩 : 3월 6일 5시 36분. 동면하던 동물이 땅 속에서 깨어나는 날.
춘분 : 3월 21일 6시 24분. 겨우내 얼었던 땅이 녹는 날이며 1년 중 농사일을 하기 좋은 때. 
청명 : 4월 5일 10시 13분. 날이 풀려 하늘이 차차 맑아지고 화창해지는 날.
곡우 : 4월 20일 17시 14분. 봄비가 내려 백곡을 윤택하고 기름지게 한다는 의미.

 

여름 절기

여름에 해당되는 절기는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입니다.

 

입하 : 5월 6일 3시 19분. 여름이 시작되는 날로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하여 몹시 바빠짐.
소만 : 5월 21일 16시 9분. 햇볕이 풍부해 만물이 점차 생장함. 본격적인 여름으로 모내기 시작. 
망종 : 6월 6일 7시 18분. 씨를 뿌리기 좋은 날로 모내기와 보리베기가 이루어짐.
하지 : 6월 21일 23시 58분. 일 년 중 해가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날.
소서 : 7월 7일 17시 31분. 작은 더위란 의미로 장마철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됨.
대서 : 7월 23일 10시 50분. 장마가 끝나고 무더위로 가장 더움.

 

 

가을 절기

가을에 해당되는 절기는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입니다.

 

입추 : 8월 8일 3시 23분. 가을이 시작되는 날로 벼가 한창 익어가는 때.
처서 : 8월 23일 18시 1분. 더위가 꺾이고 점차 선선한 가을바람이 부는 때.
백로 : 9월 8일 6시 27분. 완연한 가을로 농작물에 이슬(백로)이 맺히는 때.
추분 : 9월 23일 15시 50분.  낮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고 밤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함.
한로 : 10월 8일 22시 16분. 공기가 점점 차가워지고 찬 이슬(한로)이 맺혀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시기.
상강 : 10월 24일 1시 21분. 서리가 내리는 시기로 단풍이 절정일 때.

 

겨울 절기

겨울에 해당되는 절기는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입니다.

 

입동 : 11월 8일 1시 36분. 겨울의 시작. 늦가을이 지나 낙엽이 쌓이고 찬 바람이 붐.
소설 : 11월 22일 23시 3분. 첫얼음이 얼고 첫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날. 모든 농사일이 끝나 김장을 담그는 때.
대설 : 12월 7일 18시 33분. 가장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
동지 : 12월 22일 12시 27분. 밤의 길이가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
소한 : 1월 6일 0시 5분 : 1년 중 가장 추운 겨울로 대한보다 추움.
대한 : 1월 21일 17시 30분 : 겨울을 매듭짓는 날. 가장 춥다는 의미지만 사실 소한보단 덜 추움. 

 

 

 

전체 요약 정리

 

이상으로 2023년 24절기 전체 날짜와 그 의미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전체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24절기는 태양이 지나가는 길인 황도를 이용하여 24개의 절기로 나누어 계절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 24절기는 양력으로 계산합니다.
  • 24절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 4 계절의 변화와 흐름을 나타냅니다.
  • 2023년 24절기의 시작은 입춘으로 봄의 시작을 알리며 2월 4일입니다.
  • 2023년 24절기의 마지막은 대한으로 겨울을 매듭짓는 날을 의미합니다.

곧 있으면 2월 4일 입춘입니다. '입춘대길'이란 말이 있듯이 2023년도 입춘을 맞이하여 운수대통하시길 바랍니다.